본문 바로가기
일반상식.정보

위험한 집일까? 등기부등본 빨간 줄?

by 투어보스 2025. 7. 26.

부동산 등기부등본을 보다 보면

빨간 줄

이 그어진 항목을 발견할 수 있다. 많은 분들이 이를 위험 신호로 오해하지만, 실상은 이미 말소된 권리를 시각적으로 표시한 것일 수도 있다.

등기부등본

빨간 줄 = 삭제된 권리일 수 있다

등기부등본에서 빨간 줄은 다음 두 가지 상황 중 하나를 의미한다.

  • 근저당권, 가압류 등 권리관계가 존재 중인 경우.
  • 해당 권리관계가 말소(삭제)되어 기록 보존 목적으로 표기된 경우.

즉, 빨간 줄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위험한 부동산은 아니다. 말소 여부와 사유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다.

📌 빨간 줄은 주로 어디에 나올까?

등기부등본은 두 개의 주요 구역으로 나뉩니다.

  • [갑구]: 소유권 관련 정보. (소유자 변경, 가압류 등)
  • [을구]: 담보 관련 정보. (근저당권, 전세권 등)

빨간 줄은 보통 을구의 근저당권 말소 또는 갑구의 경매개시 말소와 관련되어 있다.

사례별 빨간 줄 위험도 구분

  • 근저당권 존재: 대출 담보가 설정된 상태. → 위험도 높음
  • 근저당권 말소: 상환 완료 후 삭제됨. → 위험도 낮음
  • 가압류 말소: 소송 종결 후 삭제. → 주의 필요
  • 경매개시결정 말소: 경매 취소. → 주의 필요

계약 전 꼭 확인해야 할 체크포인트

  • 빨간 줄이 존재 권리인지 말소 권리인지 반드시 구분.
  • 말소 사유 확인: 정상 상환인가, 강제 집행인가?
  • 최신 등기부등본을 기준으로 확인. (1~3일 내 발급 권장)
  • 전문가 상담 권장. (변호사, 공인중개사 등)

관련 사이트 바로가기 🔗

🏛️ 대법원 등기소 (등기부등본 발급)
📊 홈택스 부동산 세금계산
⚖️ 부동산 전문 변호사 무료 상담

 ✍️정리

등기부등본의 빨간 줄은 반드시 위험하다는 뜻은 아니다. 오히려 권리가 말소되어 안전해졌음을 의미할 수 있다.

단, 표시된 내용의 의미와 말소 사유를 명확히 이해하고,

전문가 상담 후 계약

하는 것이 안전한 부동산 거래의 핵심입니다.